문제
문자열 s는 한 개 이상의 단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단어는 하나 이상의 공백문자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각 단어의 짝수번째 알파벳은 대문자로, 홀수번째 알파벳은 소문자로 바꾼 문자열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제한사항
- 문자열 전체의 짝/홀수 인덱스가 아니라, 단어(공백을 기준)별로 짝/홀수 인덱스를 판단해야 합니다.
- 첫 번째 글자는 0번째 인덱스로 보아 짝수번째 알파벳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class Solution {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s) {
StringBuilder answer = new StringBuilder();
char[] sCharArr = s.toCharArray();
int charIdx = 0;
for(int i = 0; i < sCharArr.length; i++) {
if(sCharArr[i] == ' ') {
answer.append(" ");
charIdx = 0;
continue;
}
else if(charIdx % 2 == 0) {
answer.append(Character.toUpperCase(sCharArr[i]));
}
else if(charIdx % 2 != 0) {
answer.append(Character.toLowerCase(sCharArr[i]));
}
charIdx++;
}
return answer.toString();
}
}
처음엔 정규식을 사용해서 공백이 하나 이상이면 그 공백을 기준으로 단어를 나눠 연산을 했다.
그런데 테스트케이스에서 자꾸 틀린 답이 나와서 왜 그런가 고민했는데, 알고보니 결과 값에 주어진 문자열의 공백도 그대로 포함되어야 한다는걸 깨달았다.
예를들어 " Hello " 라는 양 옆에 공백이 3개씩 들어가있는 문자를 결과로 내려면 " HeLlO " 로 나와야 한다는 것이다.
(예시 결과를 제대로 대소문자로 나타냈는지 잘 모르겠지만 아무튼 포인트는 공백도 그대로 포함되어 나와야 한다는 점)
출처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