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딩테스트/자바 Level 1

[Java] 햄버거 만들기

by onggury 2023. 8. 7.

문제

햄버거 가게에서 일을 하는 상수는 햄버거를 포장하는 일을 합니다. 함께 일을 하는 다른 직원들이 햄버거에 들어갈 재료를 조리해 주면 조리된 순서대로 상수의 앞에 아래서부터 위로 쌓이게 되고, 상수는 순서에 맞게 쌓여서 완성된 햄버거를 따로 옮겨 포장을 하게 됩니다. 상수가 일하는 가게는 정해진 순서(아래서부터, 빵 – 야채 – 고기 - 빵)로 쌓인 햄버거만 포장을 합니다. 상수는 손이 굉장히 빠르기 때문에 상수가 포장하는 동안 속 재료가 추가적으로 들어오는 일은 없으며, 재료의 높이는 무시하여 재료가 높이 쌓여서 일이 힘들어지는 경우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상수의 앞에 쌓이는 재료의 순서가 [야채, 빵, 빵, 야채, 고기, 빵, 야채, 고기, 빵]일 때, 상수는 여섯 번째 재료가 쌓였을 때, 세 번째 재료부터 여섯 번째 재료를 이용하여 햄버거를 포장하고, 아홉 번째 재료가 쌓였을 때, 두 번째 재료와 일곱 번째 재료부터 아홉 번째 재료를 이용하여 햄버거를 포장합니다. 즉, 2개의 햄버거를 포장하게 됩니다.

 

상수에게 전해지는 재료의 정보를 나타내는 정수 배열 ingredient가 주어졌을 때, 상수가 포장하는 햄버거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시오.

 

 

제한사항

  • 1 ≤ ingredient의 길이 ≤ 1,000,000
  • ingredient의 원소는 1, 2, 3 중 하나의 값이며, 순서대로 빵, 야채, 고기를 의미합니다.

 

import java.util.Stack;
import java.util.Arrays;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ingredient) {
        int answer = 0;
        Stack<Integer> ingredientStack = new Stack<Integer>();
        int[] bugger = {1, 3, 2, 1};
        
        int idx = 0;
        while(idx < ingredient.length) {
            ingredientStack.push(ingredient[idx++]);
            
            while(ingredientStack.size() >= 4 && ingredientStack.peek() == 1) {
                int[] makeBugger = new int[4];
                for(int i = 0; i < 4; i++) {
                    makeBugger[i] = ingredientStack.pop();
                }
                
                if(!Arrays.equals(bugger, makeBugger)) {
                    for(int i = 3; i >= 0; i--) {
                        ingredientStack.push(makeBugger[i]);
                    }
                    break;
                }
                answer++;
            }
        }
        return answer;
    }
}

스택을 유도한 문제같기도했고 스택을 또 리스트로만 구현해봤지 스택 클래스 자체를 사용해본적은 없던것 같아서 어떻게든 스택을 쓰고싶었다.

 

스택 특징대로 ingredient 의 원소(이하 재료)를 stack에 넣고

4개이상이면서 맨 위에 값이 1이라면(빵 이라면), 4개를 위에서부터 하나씩 꺼냈다.

그래서 사실 문제에서 주어진 순서는 1, 2, 3, 1 이지만, 나는 1, 3, 2, 1 반대로 해서 계산했다.

그리고 만약 두개가 다르다면 햄버거를 만들 수 없다는 뜻이므로 다시 stack에 재료를 넣었다.

 

처음에는 "다시 재료를 넣고 어떡하지?" 라는 생각때문에 좀 고민을 많이했다.

왜냐하면, 햄버거를 못만들어서 다시 스택에 값을 넣었다면, 여전히 맨 위에 값은 1이 될 것이고 길이도 그대로 4 이상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근데 이 역시 처음에 내가 코드를 이상하게 구현해서 발생한 고민이였다. 그냥 반복문 시작할 때 재료를 하나 넣고 시작한다면, 햄버거를 못만들어서 안쪽 반복문(햄버거를 만들 수 있는지 확인하는 반복문)을 빠져나오면서 자연스럽게 다음 재료를 스택에 넣을 수 있다.

사실 이거 생각 못해서 꼬이는 바람에 2시간이라는 시간을 허비했다.

 

 

출처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3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