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QL11

오라클 - 문자 함수, 숫자 함수, 날짜 함수, 형 변환 함수, NULL 처리 함수 정리 이번 장에는 오라클에서 자주 쓰이는 함수들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외에도 상당히 많은 함수들이 존재하겠지만, 필수로 알아야 하는 함수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들어가기 앞서, 오라클에는 '단일 행 함수' 와 '그룹 함수' 가 있습니다. 1) 단일 행 함수 : 행 단위로 적용되어지는 함수 - 문자열 함수 | 숫자 함수 | 날짜 함수 | 기타 함수(문자, 숫자, 날짜 제한 없이 모든 종료에 대한 값에 대해서 사용할 수 있는 함수) | 형 변환 함수 가 있습니다. SELECT ename, lower(ename), job, sal FROM emp; 위 lower 함수처럼, ename의 사원 이름은 대문자로 나오지만, lower 함수를 써서 사원의 이름이 소문자로 나온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행 단위로 .. 2023. 2. 8.
오라클 - WHERE절과 연산자에 대한 정리 지난번엔 SELECT에 관해 다뤄봤습니다. SELECT문은 필수적으로 적어줘야 했는데 그 외 옵션들 중 WHERE절이 있었죠. 이번엔 WHERE 절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단, 여기 정리한 글이 WHERE절의 전부는 아닙니다. 기본적인 것만 정리하였고 그 외에는 저도 추가 공부가 필요합니다 ㅠ 1. WHERE절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동등 연산자(==)을 많이 씁니다. 그런데 SQL에서는 다릅니다. SQL에서는 동등 연산자가 "=" 하나다. 이걸 알고 이제 where절에 대해 정리 해보겠습니다. 지난 글에 SELECT에 대해 정리할 때, WHERE에 대한 얘기가 잠깐 나왔었죠. 다시 정리하자면, WHERE절은 간단히 말해,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if문에 속합니다. if문은 특징이 뭔가요? if문 다음에 조.. 2023. 2. 7.
오라클 - SELECT문의 기본 형식(DISTINCT와 ALL, HEADING, ORDER BY) 정리 오라클을 처음 사용해보면서 공부한 것을 정리할 겸 글을 적어봅니다 :) 1. 오라클에서 제공하는 기본 테이블 오라클에서 데이터베이스의 기본적인 데이터 저장 단위인 테이블을 몇개 제공해줍니다. 여기서는 그 중 DEPT와 EMP 테이블을 사용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DEPT : 부서 정보가 담긴 테이블입니다. DEPTNO : 부서의 번호 DNAME : 부서의 이름 LOC : 부서의 위치 EMP: 사원들의 정보가 담긴 테이블입니다. EMPNO : 사원 번호 ENAME : 사원 이름 JOB : 사원 직책 MGR : 사수의 사원번호 HIREDATE : 입사일 SAL : 급여 COMM : 추가 수당 DEPTNO : 부서 번호 2. SELECT문 SELECT문을 사용해서 각 테이블의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는데, 먼저 .. 2023. 2. 7.